강의 26. 정축 일주
유튜브 사주명리학 강의 스크립트 2019. 12. 15. 16:56 |이번 강의부터는 음의 화 기운인 정화를 천간으로 하는 일주를 여섯 가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정축 일주입니다. 정축 일주는 왼쪽에서 두 번째, 위에 빨강, 밑에 노랑, 정축이라고 읽는 부분입니다. 위에 빨강은 음의 화 기운이고 불, 달빛, 별빛 등을 상징합니다. 밑에 노랑은 음의 토 기운이고 시간대로는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 동물로는 소, 계절로는 겨울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위와 아래의 이미지를 합쳐서 하나로 형상화하면 새벽녘의 별빛, 땅을 갈고 있는 한낮의 소, 겨울의 모닥불 등이 됩니다.
먼저 새벽녘의 별빛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새벽녘의 별빛을 바라보는 것은 이상을 추구하는 마음이 됩니다. 또한 감성을 자극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축 일주는 일을 함에 있어서는 현실적이지만, 그 추구하는 바에 있어서는 감성적이고 이상적이게 됩니다. 그래서 어떤 신비적이고 비밀스러운 느낌에 끌리게 됩니다. 그만큼 이미 파악이 된 사람이 아니라 무언가 비밀을 감추고 있는 듯한 느낌의 사람에게 끌리고 집착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그런데 또 정작 그 사람을 다 알고 나면 싫증이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계속 또 새로운 이상적인 사랑이나 관계를 꿈꾸게 됩니다.
다음 땅을 갈고 있는 한낮의 소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소라는 동물은 우직하고 인내심의 상징입니다. 그렇다고 정축 일주가 우직한 것은 아닙니다. 위에 천간의 음의 화 기운인 불의 기운 자체가 기본적으로 흔들림과 변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원하는 길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상당히 방황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원하는 길, 가야 할 길을 발견한 뒤에는 또 아주 우직하고 인내심 있게 버틸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일주가 됩니다. 또한 소가 땅을 갈고 있다는 것은, 어떤 결실을 바로 보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축 일주는 젊어서 이른 성취감을 맛볼 수도 있지만, 제대로 된 결실은 서서히 나오게 되는 일주입니다. 그리고 그 제대로 된 결실을 얻자면 꾸준히 한 길을 오래 버티면서 가야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겨울의 모닥불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겨울에 모닥불을 피우면, 밑에 땅은 아주 차갑습니다. 그래서 불의 열기가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흘러가게 됩니다. 그만큼 정축 일주는 순간적인 생각의 속도가 빠릅니다. 그래서 이 기질이 균형 잡히게 작용하면 스마트함과 센스 있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과하게 작용하거나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얍삽하고 이기적인 모습으로 외부에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의 모닥불은 그 열기의 전달 흐름이 빠르기는 하지만, 또 주변이 전체적으로 춥기 때문에 빨리 열기가 소멸이 됩니다. 그래서 순간의 머리 회전은 빠르지만 장기적인 관리에서는 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축 일주는 자신의 그 시작의 본질이 불의 기운인데, 주변의 환경적 기운이 추운 겨울이기 때문에 계속 자신의 에너지가 소진되는 형국이 됩니다. 그래서 일단 자신의 것을 먼저 챙기고 쌓으려는 본능적 특성을 갖습니다. 그런데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또 이상적 꿈을 꾸는 일주이기에 열심히 축적해 두었던 것을 한 번에 날려버리기도 합니다. 마치 추운 겨울에 방 안에 벽난로를 피우고 나름 열기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꽁꽁 보온을 하다가도, 갑자기 눈 오는 풍경이나 하늘의 별을 보기 위에 문을 확 열어서 그동안 모아둔 열기가 밖으로 한 번에 빠져나가버리게 하는 느낌이 됩니다. 따라서 알뜰하고 합리적인 것 같으면서도 또 처음 마음먹은 대로 모든 것을 축적하고 쌓지 못할 수 있는 일주입니다. 따라서 본인 마음의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종교 생활이나 열기를 돌려주는 요가 등의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유튜브 사주명리학 강의 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 28. 정사 일주 (0) | 2019.12.15 |
---|---|
강의 27. 정묘 일주 (0) | 2019.12.15 |
강의 25. 병술 일주 (0) | 2019.12.15 |
강의 24. 병신 일주 (0) | 2019.12.15 |
강의 23. 병오 일주 (0) | 2019.12.15 |